📋 목차
👥 지원 대상 자격
만 60세 이상이면 대부분의 일자리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.
노인공익활동사업(기존 공익형)은 만 65세 이상이면서 기초연금 수급자가 대상입니다.
노인역량활용사업(사회서비스형), 공동체사업단(시장형), 취업알선형은 만 60세 이상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.
소득·건강·생계 급여 수급 여부 등을 고려하여 우선 선발 기준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.
📊 2025년 사업 규모와 예산
총 제공 일자리 수: 약 109만 8,000개, 역대 최대 규모 (2024년 대비 약 +6.8만 개 확대)
사업 예산: 약 2조 1,847억 원 (2024년 2조 262억 원 대비 대폭 증가)
공익활동형: 69.2만 개 (+3.8만 개)
사회서비스형(노인역량 활용): 17.1만 개 (+2만 개)
공동체/시장형: 23.5만 개 (+1만 개)
💰 주요 일자리 유형과 활동비
노인공익활동사업(공익형)
• 대상: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
• 활동: 거리청소, 경로당 지원, 노노케어 등
• 활동비: 약 29만 원 (월 30시간 기준)
• 대상: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
• 활동: 거리청소, 경로당 지원, 노노케어 등
• 활동비: 약 29만 원 (월 30시간 기준)
노인역량활용사업(사회서비스형)
• 대상: 60세 이상 누구나
• 활동: 노인돌봄, 보육 지원 등
• 활동비: 약 76.1만 원 (월 60시간 기준)
• 대상: 60세 이상 누구나
• 활동: 노인돌봄, 보육 지원 등
• 활동비: 약 76.1만 원 (월 60시간 기준)
공동체사업단(시장형)
• 대상: 60세 이상 누구나
• 활동: 시니어카페, 공예 제작, 생산‧판매 등
• 활동비: 수익 배분 방식
• 대상: 60세 이상 누구나
• 활동: 시니어카페, 공예 제작, 생산‧판매 등
• 활동비: 수익 배분 방식
취업알선형 / 시니어 인턴십
• 대상: 60세 이상 구직 희망자
• 활동: 취업 알선, 현장실습
• 활동비: 알선형 1인당 5만~15만 원 / 인턴제 월 40만 × 6개월 (총 240만 원)
• 대상: 60세 이상 구직 희망자
• 활동: 취업 알선, 현장실습
• 활동비: 알선형 1인당 5만~15만 원 / 인턴제 월 40만 × 6개월 (총 240만 원)
📅 신청 절차 및 일정
신청 기간: 2024년 12월 2일(월) ~ 12월 27일(금), 일부 지자체는 연장 가능
방문 신청: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, 노인복지관, 시니어클럽, 대한노인회 등 수행기관
온라인 신청: '노인일자리 여기'(seniorro), 복지로(bokjiro), 정부24(gov.kr)
상담 도움: 노인일자리 상담 대표전화(1544-3388) 통해 가장 가까운 기관 안내 가능
선정 과정 및 통보: 소득·활동 역량·경력 기반 고득점 순 선발, 2024년 12월 중순~2025년 1월 초 개별 통보 예정
⚠️ 참여 전 유의사항 및 팁
일부 유형(공익형 등)은 기초연금 수급 여부가 지원 자격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생계급여 수급자나 국민건강보험 직장가입자는 일부 사업 참여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확인 필요.
근로장려금(EITC)도 별도 신청 가능하며, 최대 연간 약 300만 원까지 추가 지원이 가능합니다.
📈 실전 활용 사례
A어르신 (공익형): 거리청소 활동 통해 규칙적인 일상 유지 + 소소한 용돈 확보
B어르신 (사회서비스형): 노노케어 참여로 월 70만 원대 활동비 + 지역사회 기여
C어르신 (시장형): 시니어카페 운영 → 직접 매출 일부 수익화
D어르신 (시니어 인턴십): 중소기업 인턴 근무 후 정규직 전환 성공 → 기업과 본인 모두 인센티브 혜택
✅ 요약 및 향후 행동 제안
지원 대상: 만 60세 이상 누구나 (공익형은 65세+기초연금 수급자)
활동비: 공익형 ≈ 29만 원, 서비스형 ≈ 76만 원, 시장형은 수익 기반, 인턴형은 직무 연계 지원
신청 일정: 2024년 12월 초 공고 및 접수 → 연말 접수 마감 → 결과 통보는 연말~신년
2024년 12월 2일 ~ 12월 27일이 핵심 기간입니다.
2024년 12월 2일 ~ 12월 27일이 핵심 기간입니다.
실행 팁: 본인의 건강상태, 시간 여유, 필요 활동비 등을 고려해 가장 적합한 유형 선택
추가 혜택: 근로장려금 등 복지 지원과 병행하면 노후 소득 안정에 더욱 도움이 됩니다.
반드시 관련 페이지를 확인하시길 바랍니다.